삼성전자(005930) 주식투자 전 및 중일 때 꼭 알아야 할 것들

반응형
반응형

삼성전자(005930, 005935)

삼성전자의 소액주주가 500만명이 넘어섰을 정도로 대한민국 국민 10명 중 1명은 삼성전자의 주주입니다. 액면분할 이후 몇 년이라는 시간 후에 국민주식이 될 정도로 변모한 삼성전자에 대해 주식을 투자하기 전이나 투자중인 경우 꼭 알아야 할 정보들을 정리해봤으니 꼭 챙겨보시길 바랍니다.

 

※ 시가총액 순으로 기업들의 정보를 공유할 계획이니 필요하신 분들은 글 하단의 카카오뷰 채널 추가하셔서 카카오톡 My뷰에서 확인가능하시며 매달 다양한 이벤트와 혜택까지 누리실 수 있습니다^^

 

1. 개요
  • 한국 및 CE, IM부문 해외 9개 지역총괄과 DS부문 해외 5개 지역총괄, Harman 등 234개의 종속기업으로 구성된 글로벌 전자기업임.
  • 세트사업에는 TV, 냉장고 등을 생산하는 CE부문과 스마트폰,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 등을 생산하는 IM부문이 있음.
  • 부품사업(DS부문)에서는 D램, 낸드 플래쉬, 모바일AP 등의 제품을 생산하는 반도체 사업과 TFT-LCD 및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는 DP사업으로 구성됨.

 

2. 투자지표

삼성전자 투자지표

 

삼성전자의 투자지표를 보겠습니다. 먼저 EPS는 주당 순이익으로 삼성전자의 순이익을 주식 수로 나눈 값이며, BPS는 순자산을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EPS와 BPS는 꾸준히 우상향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기업가치(EV)도 10년 전 대비해서 최고값은 2배 정도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배당관련 투자지표

주주들에게 아주 중요한 요소인 배당성향과 배당금을 보면, 2019년까지 배당성향 50% 이내로 배당금을 꾸준히 올리면서 주주들에게 분배한 착한 기업입니다. 최근 2년 동안 특별배당을 하면서 배당성향이 78%까지 올라갔기에 아마 최대 수준까지 배당을 준 것으로 보여지며, 상속과 관련된 이슈들이 정리되는대로 다시 안정적인 배당성향이 될 것이라 추측을 해봅니다. 이슈가 정리되고 배당금도 적어지게 됐다고 많은 분들께서 배당삭감을 이야기하실 수도 있으시겠지만 그 때에는 비교를 최근 2년 배당금이었던 2,994원이 아니라 특별배당금을 제외한 배당금으로 비교를 해보시기를 권장드립니다.

 

삼성전자 PER, PBR 지표

PER는 시가총액을 지배지분 순이익으로 나눈 값으로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값과 같습니다. PBR은 시가총액을 지배주주 지분으로 나눈 값으로, 주가를 주당순자산(BPS)로 나눈 값과 같습니다. 위의 표에서 보이는대로 연간 PBR과 PER만 두고 보면 엄청 싸거나 비싸보이지는 않지만 글로벌 경쟁사와 PER로만 비교해본다면 좋은 가격대임은 분명해보입니다.

 

삼성전자 ROE 이력

삼성전자 ROE는 대부분 10%가 넘는 기록을 보여줬습니다. 쉽지 않은 기록인데 역시 삼성전자입니다.

 

 

2. 재무제표

1. 재무상태표

삼성전자 10년 재무상태표

재무제표를 간단히 보겠습니다. 

 

역시 삼성전자라고 말할 수 있을 만큼 유동자산, 비유동자산은 꾸준히 즈가하고 있어 총 자산이 크게 오르고 있습니다. 부채도 꾸준하게 오르고 있긴 하지만 자본금이 우상향하고 있다는 점이 의미있지 않나 싶습니다.

 

자본증가율을 보면 2013년 23.4%, 2014년 12.3%, 2015년 6.6%, 2016년 7.8%, 2017년 11.2%, 2018년 15.9%, 2019년 6.2%, 2020년 5.0%, 21년 10.7%가 상승할 정도로 지난 10년간 전년대비 자본 증가율이 역성장없이 5% 이상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2. 손익계산서

삼성전자 10년 손익계산서

삼성전자의 매출을 보면,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이 몇 번의 하락이 있기는 했지만 그래도 10년간 상승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난 10년간 순이익 증가율을 보면 2013년에는 전년대비 +28.6%, 2014년에는 2013년 대비 -22.6%, 2015년에는 -19%, 2016년에는 +19.9%, 2017년에는 +84.4%, 2018년에는 6.2%, 2019년에는 -51%, 2020년에는 +21.3%, 21년에는 +50.4%의 순이익 변화가 있었습니다.

 

기타 궁금하신 사항은 DART를 통해서 내용 확인이 가능하십니다:)

 

 

3.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에서는 FCF(Free-Cash Flow) 증가율을 보면, 2013년에는 전년대비 +23%, 2014년에는 -20.8%, 2015년에는 +8.3%, 2016년에는 +18.3%, 2017년에는 +31.2%, 2018년에는 +7.8%, 2019녀네는 -32.3%, 2020녀네는 +43.9%, 2021년에는 -0.3%를 기록해 FCF 성장이 아주 훌륭한 기업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3. 가치평가

삼성전자의 가치평가는 RIM, FCFE(주주이익할인법), EPS 성장률, 야마구치, 눈덩이, 숙향, 무성장가치를 통한 현재 삼성전자의 적정가치와 삼성전자의 현재 주가를 비교해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가치평가는 그 계산방식에 따라 다른 가치를 보여주기 때문에 투자에 단순히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저는 삼성전자를 그냥 돈이 있으면 한 주라도 사려고 하기 때문에 크게 가치평가를 크게 고려하지는 않습니다^^;)

 

가치평가 시 할인율은 9%로 정해서 계산했으며, 그 결과를 보면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삼성전자 가치평가

각 평가모형별로 삼성전자의 가치는 RIM은 64,537원, FCFE는 57,385원, EPS 성장률로는 95,174원, 야마구치는 56,013원, 눈동이는 46,608원, 숙향은 45,289원, 무성자가치모형으로는 47,347원이 나옵니다.

 

위의 모형별 가치평가를 보시고 너무 보수적인 가격만 보면 투자를 할 수 없고 높은 가치평가만 보면 평가손실이 발생할 수 있기에 단순 참고만 하시는게 조흘 것 같습니다^^

 

※ 투자추천 아니며, 개인기록 및 삼성전자 투자 전에 한번 쯤 참고만 하실 것을 권장드립니다.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